본문 바로가기

칼럼

꽃과 열매는 머무르지 않는다

꽃과 열매는 머무르지 않는다

 

  이제 완연한 겨울이다. 숲을 보면, 여름이나 가을과는 완전히 다르다. 나무들은 대부분 잎을 떨구고 황량한 모습이다. 그러나 아무것도 없는 듯한 황량함 속에서도 생명의 원리는 부지런히 움직이고 있다. 중단이 아니라 뚜렷한 진행형이다. 앙상하게 드러난 나뭇가지에 작지만 빨간 열매들이 눈에 띈다. 이 열매들이 빨간 이유는 새들이 멀리서도 잘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새가 열매를 먹어야 나무는 번식을 한다. 새가 열매를 먹고 그 표피를 소화시켜 배설이 되어야 싹을 틔울 수 있다.

  
과육이 큰 열매들은 가을에 번식을 진행한다. 사람이나 동물들이 튼실한 과일을 먹으면서 번식을 돕는다. 그러나 작은 열매들은 잘 떨어지지 않도록 단단하게 붙어서 먹이가 귀한 겨울까지 기다린다. 겨울이 되면, 동물들은 과육이 적은 열매라도 먹어야 한다. 이때 동물들의 눈에 가급적 잘 띄도록 열매의 색깔을 선명하게 만드는 것이다. 석류나 콩은 스스로 열매의 껍질을 열어 씨앗을 땅에 떨어뜨린다. 봉선화, 참깨, 달맞이꽃은 톡 건드리기만 해도 주머니를 갈라 씨앗을 흩뿌린다. 브라질의 후라나무는 강한 에너지로 깍지를 터뜨려 씨앗들을 32m 이상이나 쏘아올린다고 한다.

  
그러나 자력으로 움직일 수 없는 식물들은 가급적 멀리 자손을 퍼뜨리기 위해 여러 가지 수단을 강구해 왔다고 한다. 씨앗에 독성이 있는 주목은 씨앗을 깨물 수 없는 새의 먹이가 되어 멀리 이동한다. 쇠무릎은 침을, 도꼬마리는 끈끈이를 만들어 동물의 몸에 붙어 간다. 느릅나무나 단풍나무는 날개를 만들어 바람의 힘으로 날아간다.

  
민들레는 꽃이 필 때까지 땅에 거의 붙어 있다. 그러다가 씨를 맺게 되면 비로소 키가 크기 시작하고, 옆의 식물보다 조금 더 높게 올라간다. 그래야 바람이 불면 멀리 날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옆에 키 큰 식물이 없으면 민들레는 크게 자라지 않는다. 꼭 필요한 만큼만 에너지를 쓰는 것이다. 식물들은 너무나 효율적이다.

  
식물들은 상당기간을 앞서서 미래를 준비한다고 한다. 내년에 나올 싹이나 꽃의 근본은 이미 올해의 여름이나 가을부터 만들어진다. 그래서 자세히 보면, 앙상한 가지 위에 그 꼭지들이 보인다. 그리고 겨울이 추울 것 같으면, 그 꼭지들의 겉가죽은 두껍게 만들고 안에 솜털도 더 많이 만든다고 한다. 겨울이 따뜻할 것 같으면 그렇게 낭비를 할 필요가 없다. 더 얇게, 더 적게 만든다. 참으로 생명은 신비하다.

  
우리 인간사회도 식물의 이러한 생명현상에서 교훈을 얻었으면 한다. 작은 조직이든 큰 조직이든 그 조직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사용하고, 식물들처럼 자연스럽게 세대교체가 이루어져야 한다. 가을이 되어 낙엽이 떨어지는 것은 겨울을 가볍게 지나기 위해서다. 식물은 에너지의 20% 정도를 종족보존에 쓴다고 한다. 우리도 조직의 힘 20% 정도를 미래를 위해 써야 발전하는 조직이 되지 않을까? 잎이 되어 열심히 일을 하였으나 미래를 위해 낙엽이 되고, 꽃과 열매가 되어 결실을 이루었으나 미래를 위해 나무를 떠난다. 그것이 생명의 원리이다. 과거의 공적을 이유로 머물러 있으면, 그 조직은 발전이 없다.

  
내년 총선과 대선은 세대교체가 화두가 될 듯하다. 나이에 기준을 둔 세대교체의 의미가 아니다. 새로운 생각, 새로운 틀, 새로운 힘을 분출하는 세대교체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새로움’이 자연스럽게 자리를 잡을 수 있도록 지금의 잎과 열매들이 떨어질 준비를 해주었으면 한다. 잡아먹고 잡아먹히는 쟁탈로 이루어져 전통이 단절되는 세대교체가 아니라 물려주고 물려받는, 그래서 전통이 흐르는 세대교체가 되었으면 한다. 기성세대들은 다음세대의 능력을 걱정하는 경우가 많다. 잘할 수 있을까 걱정을 한다. 식물들은 걱정하지 않는다. 그렇다고 흉년이 없겠는가? 흉년이 오고 풍년이 오고 그러면서 나무는 자란다.

      ( 서울신문, 2011.12.08)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마의 경쟁력  (0) 2016.11.24
순교자의 정신  (0) 2016.11.24
보이지 않는 것을 보는 정치  (0) 2016.11.24
교육이 농업경쟁력의 핵심  (0) 2016.11.24
바이오산업 국책산업으로 발전시켜야  (0) 2016.11.24